황제를 죽인 환관 – 조고(趙高)의 제국 음모
배후의 사내 – 황제 곁에 선 환관
조고(趙高), 그는 원래부터 진나라 귀족이 아니었다. 기록에 따르면 조고는 환관 출신이자 법률에 정통한 율사(律士)로, 진시황의 황자 시절부터 곁을 지켰다고 한다.『사기(史記)』 「진시황본기」와 「이사열전」에 따르면, 그는 진시황의 비밀 업무를 다루는 내시부를 총괄했고, 성격은 교활하고 치밀하며, 자신의 야망을 철저히 감추는 자였다.
그는 황제의 말을 절대 어기지 않았고, 황제가 불러 주는 자만 가까이 갔으며, 자신을 절대로 드러내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모든 것을 듣고, 기록하고, 계산하고 있었다.
황제의 죽음 – 숨겨진 시신과 조작된 유조
기원전 210년, 진시황은 동부 순행 도중 사구(沙丘)에서 병을 얻고 쓰러진다. 그는 급히 유조(遺詔)를 내려 장남 부소(扶蘇)에게 뒤를 잇도록 지시했다. 그 유조를 맡은 인물 중 하나가 바로 조고였다. 함께 있던 승상 이사(李斯)는 그 순간 조고와 눈을 맞췄다. 두 사람은 한 가지 공포에 사로잡혀 있었다.
“부소가 즉위하면, 우리는 모두 제거될 것이다.”
그들은 황제의 죽음을 은폐하고, 유조를 위조하여 차남 호해(胡亥)를 황제로 옹립하기로 한다. 조고는 죽은 황제의 시신을 냄새가 나지 않도록 마차에 생선 더미를 쌓아 숨겼다. 진시황이 여전히 살아 있는 것처럼 가장하며, 사구에서 함양까지 수백 리를 이동했다.
사람들은 ‘황제의 건강이 좋지 않다’는 말만 들었을 뿐, 황제가 죽었는지는 알지 못했다. 그렇게 황제는 죽어서도 계속 여행을 이어갔다.
허수아비 황제 – 호해를 통해 제국을 조종하다
호해가 즉위하자, 조고는 마침내 본색을 드러낸다. 그는 부소에게 자살을 명령하는 가짜 조서를 내려 죽게 만들었고,
황제를 앞세워 정적들을 하나씩 제거하기 시작한다. 심지어 승상 이사마저 조고의 손에 죽임을 당한다.
『사기』 「이사열전」에는 이사의 최후가 이렇게 묘사되어 있다:
“이사는 가족과 함께 허리에 칼을 차고 저잣거리로 끌려가,
머리가 베이고 나서야 조고의 복수가 끝났다.”
이사까지 제거한 조고는 사실상의 황제가 되었다. 그는 호해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자신을 중승(中丞)으로 올려 모든 권력을 독점한다. 법령, 군사, 인사 모두 조고의 손을 거쳐야만 움직였다.
사슴을 말이라 하다 – 제국의 광기
기원전 207년. 조고는 이제 제정신이 아니었다. 그는 황제 앞에 사슴을 끌고 와 말이라 했다. 호해가 “저것은 사슴이 아니냐”고 묻자, 조고는 웃으며 말했다.
“폐하, 이것은 말이옵니다.”
조고의 측근들은 저마다 “과연 말이옵니다”라며 고개를 끄덕였다. 이 사건은 『사기』에 “지록위마(指鹿爲馬)”,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했다는 고사로 전해진다. 이는 단순한 농이 아니었다. 자신에게 복종하지 않는 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려는 시험이었다.
이후, 사슴이라 말한 자들은 모두 제거되었다.
파멸 – 두 황제의 목을 가져간 환관
그러나 그에게도 끝은 있었다. 진나라의 폭정에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항우와 유방이 서쪽으로 진군한다. 조고는 호해에게 “천하가 이미 무너졌습니다. 폐하께선 자결하소서”라고 말하고, 황제의 죽음을 유도한다. 그리곤 스스로 황제를 칭하려 했지만, 진나라 귀족 자영(子嬰)이 반란을 일으켜 그를 처단한다. 그의 최후는 처참했다.『사기』에 따르면 족히(族誅), 즉 삼족을 멸하는 극형을 받았고, 그의 이름은 역사의 반역자로 기록되었다.
그림자 권력의 본질
조고는 황제가 아니었지만, 황제를 만들어내고, 죽이고, 조종했다. 그는 환관이었지만, 진나라의 마지막 세월은 그의 뜻대로 움직였다. 그의 일생은 철저히 그림자의 정치였고, 그는 단 한 번도 ‘공식적인 권력’을 탐한 적이 없었다.
그는 언제나 권력을 조종하는 자였을 뿐이다. 그리고 그가 남긴 한마디가 지금도 이어진다.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
– 권력자가 진실을 바꾸려 할 때, 사람들은 침묵한다는 교훈이다.
이것이 조고다. 진시황을 가장 가까이서 모셨고, 그 황제의 목숨을 가장 먼저 던져버린 환관
그의 이야기는 제국의 정점이자, 멸망의 씨앗이었다.
이전글
진시황, 천하를 삼킨 사내
진시황, 천하를 삼킨 사내폭풍 속의 탄생기원전 259년, 전국시대가 막바지로 치닫던 혼란의 시대. 여섯 나라가 서로를 견제하며 피를 흘리던 그때, 조나라의 수도 한단에서 한 아이가 태어났다.
histoday.tistory.com
'중국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우와 유방의 대립과 한나라의 부상 (1) | 2025.05.11 |
---|---|
조희와 노애 – 황제의 어머니와 궁정 반란자 (1) | 2025.05.10 |
진시황, 천하를 삼킨 사내 (0) | 2025.05.08 |
천하를 산 여불위 (1) | 2025.05.08 |
하(夏) 왕조 – 중국 최초의 왕조, 전설에서 역사로 (1) | 2025.05.06 |